법정 자동차검사 진단항목 기준 검사결과
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 essential to life

법정 자동차검사 진단항목 기준 검사결과

by ramsss 2024. 4. 21.

자동차관리법에 따라 모든 자동차는 해당 검사기간 내에 자동차검사를 시행하여야 합니다. 물론 해당기간 내에 검사를 실시하지 않는 경우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자동차 검사의 진단항목 및 검사기준 등을 확인하여 검사 전 차량의 이상유무를 미리 체크하여 적합한 차량을 운행하여야 합니다. 

 

 

TS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검사소 위치 검사장 예약 및 과태료 확인

 

 

자동차 기능종합 검사

자동차 검사기간 및 검사내용이 첨부된 안내에 따라 차량 소유주는 검사기간 내에 진단항목 및 검사기준인 안전진단기준에 따라 자동차 검사를 실시하게 됩니다. 부품별 진단 및 검사가 시행되며 검사기준에 따라 항목별로 진단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검사서에는 안전진단기준에 의한 진단의견도 확인이 가능하며 검사결과에 따라 최종판정이 결정됩니다. 만약 진단결과 항목별 위험요인이 발견되거나 안전진단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해당 검사차량을 수리 후 기간 내에 재검사를 실시하여야 합니다. 만약 재검사 기간 동안 해당차량이 검사를 진행하지 못할 경우 과태료와 검사수수료가 전액 추가로 발생될 수 있습니다. 

 

 

 

자동차 종합검사 세부 진단기준

자동차검사는 해당 자동차의 종류, 연식, 사용연한 등에 따라 검사항목이 달라질 수 있으며 검사결과서를 통하여 상세하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주요 진단항목은 자동차가 달리는 방향을 조정하는 조향계통과, 속도를 조절하는 주행계통, 운전속도를 조절하는 제동계통, 전조등이나 차에 설치된 라이트 등의 기능인 등화장치, 속도계 및 각종 차량상태를 관장하는 계기계통, 자동차 운전상태를 관장하는 센서나 변속안전장치와 관련된 원동기와 배출가스의 양과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로 검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조향계통: 자동차 바퀴의 위치와 방향의 바른 정도를 체크하며 휠얼라이먼트 및 타이어의 상태를 확인하게 됩니다. 바퀴의 정렬 상태는 1m 주행 시 5㎜ 이내의 옆방향 미끄러짐 량으로 확인하며 각종 조향계통의 변형, 느슨함, 누유여부, 파워스티어링의 오일량을 검사하게 됩니다. 

 

  • 주행계통: 자동차가 주행하는데 필요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차축, 타이어 및 휠의 외관 손상 및 파손여부를 판단하며 변속기추진축 등의 손산, 변형 및 클러치 유격상태를 검사합니다. 주행에서 중요한 타이어는 편마모 발생 시 수명이 단축될 수 있어 주행 전 타이어의 마모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자동차 조향계통관리의 1순위 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제동계통: 브레이크시스템은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한 가지이며 앞 측 및 뒤축의 모든 제동력을 검사하게 됩니다. 검사방법은 차량 정지 후 롤러로 자동차 바퀴를 강제로 구동시키고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힘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진행합니다. 제동력은 모든 바퀴가 안전진단기준 이상이어야 합격할 수 있습니다. 제동계통의 설치 형태, 손상여부, 오일누유 확인과 디스크 및 패드상태 또한 검사항목에 포함됩니다. 

 

  • 동화장치: 차에 설치된 전조등의 밝기, 전조등의 방향, 불법장치 사용 여부를 확인하며 전조등의 광도, 진폭 등을 확인하며 제동, 방향, 번호판 등의 점등상태도 진단하게 됩니다. 

 

  • 배출가스: 차량을 실제 주행상태 및 정지상태로 운행하여 배출가스를 측정하고 사용연료에 따라 배출되는 물질과 배기관, 소음기, 촉매장치의 상태를 확인하여 배출가스 등급을 판정하게 됩니다. 

 

  • 계기계통: 자동차 운행 시 속도 및 차의 현재상태를 확인하는 장치인 속도계와 운행기록계, 최고속도제한장치 등의 작동여부를 검사기준에 의해 판정합니다. 

 

 

자동차 주요 부품과 소모품의 교체주기

자동차의 모든 부품의 정상작동은 소중한 생명과 직결되는 아주 민감한 사항입니다. 차량 소유주가 차량 운행전 간단하게 확인해도 알 수 있는 부품은 신속하게 교체 및 충전하여야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주요 부품과 소모품의 관리주기가 설명된 표
자동차부품 관리주기_한국교통안전공단

 

 

 

차량 운행 중 변속 시 충격이 느껴지거나 변속이 잘 되지 않을 경우, 브레이크의 상태에 이상을 느끼거나 완만한 경사로에서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해도 차량이 밀리고, 제동거리가 현저히 길어지거나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반드시 제동계통을 정비하여 큰 고장에 대비하여야 합니다.